美 연준, 기준금리 동결…변수는 ‘고용’
금리 동결 속 연준 2명, ‘인하’ 소수의견 9월 FOMC까지 고용·물가 주목해야
한국금융경제신문=양지훈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향후 고용 지표가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하는 변수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연준은 29~30일(현지 시각) FOMC를 개최하고 기준금리를 동결(4.25~4.50%)했다.
5회 연속 동결이다. 월러(Waller) 이사와 보우먼(Bowman) 부의장이 노동시장의 빠른 악화 가능성에 대비해 0.25%p 인하 소수의견을 제시하기도 했으나, 금리는 동결됐다.
금리 인하 조건에 관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원론적인 답변만 했다. 노동시장과 인플레이션에 균형이 보이면 중립금리로 이행해야 한다는 것이며, 노동시장 하방 위험을 포함한 ‘리스크 균형 여부’는 앞으로 2달간의 고용과 물가 데이터로 평가하겠다는 태도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고용 지표가 금리 인하의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제민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파월과 대다수 연준 위원은 관세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불확실성이 높은 와중에 경기와 고용 지표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을 선호한다”며 “오는 9월까지 발표될 물가지표에 관세로 인한 상품물가 상승 압력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경기 둔화로 인한 고용 하방 리스크가 높아지지 않는다면 금리 인하 지연될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고빈도 고용 데이터에 기반해 보면 실업률이 4.2~4.3% 범위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며 “실업률이 9월까지 4.3% 이상으로 올라가면 금리 인하에 무게 실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상 질문과 내용 역시나 기존에서 크게 달라진 부분은 없다”며 “관세 부과 충격은 이론상 일시적이라고 해도 확인이 필요하다는 관점이며, 고용둔화 위험이 존재하지만, 이 또한 표면적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았다는 결론이다. 결국 9월 FOMC까지 2번의 고용과 물가 지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