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첫 국감 출석…“홈플러스 의사결정 관여 안 해”

홈플러스 사태 관련 사과 김현정 의원 등 김 회장 질타

2025-10-14     양지훈 기자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오른쪽)과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금융경제신문=양지훈 기자 |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가운데 의원들의 질타에 진땀을 흘렸다.

김 회장은 1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공정거래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에 대한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참석했다. MBK파트너스에서는 김 회장을 비롯해 김광일 부회장(홈플러스 공동 대표)과 윤종하 부회장도 동석했다.

우선 김 회장은 홈플러스와 관련해 사과했다. 홈플러스 임직원과 이해관계자들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는 발언도 이어갔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기업회생절차에 돌입했으며, 일각에서는 MBK파트너스의 무리한 차입매수(LBO) 등이 사태의 원인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다만, 김 회장은 사과와 별개로 홈플러스 경영에는 관여하지 않았다며 자신의 역할을 명확하게 설명했다.

그는 “(MBK파트너스는) 대기업이 아니며, 저는 총수가 아니다. 파트너 13명이 각자 자기 분야를 담당한다. 제가 관여하는 분야는 자금을 일으키는 것이며, 자금 받은 투자처를 관리하는 것이다”며 선을 그었다.

의원들은 질타를 아끼지 않았다.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 회장의 ‘도덕적 해이’를 집중적으로 지적했다.

그는 “국감만 넘기면 된다는 생각은 오산이며, 국회와 정부가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할 것이다”며 “MBK파트너스는 사익은 챙기면서 손실은 사회화하는 이른바 ‘먹튀’ 행각을 반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홈플러스를 7조2000억원에 인수한 가운데 5조2000억원 규모의 홈플러스 자산을 담보로 한 LBO로 조달한 것을 문제의 본질이라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인수 과정에서 일으킨 과도한 빚의 이자 부담을 홈플러스에 떠넘겨 회사를 망가뜨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금융당국에도 LBO 방식의 과도한 차입을 막기 위한 제도 개선 검토를 주문했다.

이날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은 ‘MBK 재발 방지법’을 발의했다. 사모펀드가 인수 기업의 부실을 초래하거나, 인수 투자자와 피인수 기업 투자자 간 이해상충을 유발하는 행태를 제도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핵심이다.

개정안 주요 내용은 ▲현행 사모펀드의 피인수기업 순자산 차입비율을 400%에서 200%로 강화 ▲집합투자재산으로 취득한 회사 주식 2년간 의결권 행사 제한 ▲투자목적회사를 통한 특수관계인의 내부거래 시 이해상충 여부와 통제 수단을 금융위원회에 의무적으로 보고하는 것 등이다.

신장식 의원은 “홈플러스의 비극은 인수금의 30%만으로 사모펀드에 인수를 허용한 2015년에 이미 시작된 일이다”며 “사모펀드가 과도한 레버리지로 기업의 알짜 자산만 챙기고 떠나는 행태를 근본적으로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