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2연속 금리 인하…12월 추가 인하는 ‘신중론’
기준금리 0.25%p 인하, 3.75~4.00% 12월 1일 양적 긴축 종료 파월 의장 “12월 추가 인하, 확정 아냐”
한국금융경제신문=양지훈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시장 전망대로 기준금리를 0.25%p 인하했다. 다만,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오는 12월 추가 인하에 관해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업무 중단) 이후 발표될 경제지표가 연내 추가 인하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했다.
29일(미국 현지 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기준금리를 0.25%p 낮춰 3.75~4.00%로 조정했다. 지난 9월에 이은 2달 연속 인하이며, 최근 3년 사이 가장 낮은 금리다.
연준은 금리 인하의 배경으로 고용 시장 악화를 거론했다. 파월 의장은 “역동성이 떨어지고, 노동 시장이 다시 약화하는 가운데 고용 시장의 하방 위험은 최근 몇 달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준 위원 가운데 일부는 소수의견을 제시했다. 스티븐 마이런 연준 이사는 빅컷(0.5%p 인하) 의견을 냈으며, 제프리 슈미드는 금리 동결 의견을 피력했다.
시장의 관심이 집중됐던 양적 긴축(QT) 종료 시점은 오는 12월 1일로 정해졌다. QT는 연준이 보유 중인 채권을 매각하거나 만기 후 재투자하지 않는 방식으로 시중 유동성을 흡수하는 과정이다.
연내 기준금리 추가 인하에 관해 파월 의장은 신중한 모습이었다.
그는 “오는 12월 회의에서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가 기정사실은 아니다”며 “그 점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핵심은 12월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는 것이다”고 말했다.
아울러, 파월 의장은 “이번 금리 인하가 ‘보험성 인하’지만, 언제 끝낼지는 신중하게 지켜보고 있다”고 언급하는 가운데 ‘고용시장이 안정화된다면 정책 결정에 반영될 것“이라며 정책 결정의 신중함을 재차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셧다운 이후 발표될 경제지표가 기준금리 추가 인하 여부를 좌우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제민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현재 미국 경기를 고려할 때 기준금리 연내 인하 필요성은 여전히 의문이나, 셧다운 장기화 여파, 고용과 인플레이션 리스크에 대한 가중치 변화(고용 하방 리스크 증대)를 고려하면 추가 인하 가능성은 여전히 큰 편이다“며 ”셧다운 이후 발표될 경제지표가 연내 추가 인하를 결정할 것이며, 강한 경기와 약한 고용 실체 확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