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 박찬흠 교수팀 ‘바이오캐비넷’,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 탑재

27일 누리호 4차 발사 통해 우주로…우주 환경서 인공 심장 제작 가능

2025-11-24     정진아 기자
박찬흠 교수팀이 바이오캐비넷의 전자부 제작 용역을 수행한 카이로스페이스팀과 함께 바이오캐비넷 앞에서 단체사진 촬영에 임하고 있다. 사진=한림대학교

한국금융경제신문=정진아 기자 | 한림대학교 나노바이오재생의학연구소 박찬흠 교수(춘천성심병원 이비인후과) 연구팀이 개발한 우주 생물학 연구 탑재체 ‘바이오캐비넷’이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에 탑재돼 오는 27일 누리호 4차 발사를 통해 우주로 향할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해당 바이오캐비넷은 무게 55kg, 크기 790×590×249mm로, 바이오 3D 프린터와 줄기세포 분화 배양기를 포함한 첨단 연구 탑재체다. 우주 환경에서 자동으로 인간의 인공 심장을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지구에서는 질환이 발생하면 즉시 치료가 가능하지만 우주에서는 신속한 진료가 어렵고, 지구 귀환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바이오캐비넷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우주 공간에서 생체조직을 신속히 제작하며 질환 반응성을 확인할 수 있는 ‘우주 의료 기술’을 실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임무 수행 기간은 60일이며, 세포 상태와 연구 목적에 따라 최대 1년까지 연장이 가능하다.

박찬흠 교수는 발사 과정의 충격과 우주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세포를 배양하고 분화시키며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안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국제우주정거장 사용 권한이 없는 한국의 상황을 고려해, 사람이 개입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완전 자동으로 작동하는 3D 프린터를 제작했다.

탑재체에는 역분화 심장 줄기세포를 이용해 심장 조직을 3D 프린팅하고 세포가 스스로 수축하며 박동하는 과정을 관찰하는 모듈, 편도에서 유래한 줄기세포를 사용해 우주 환경에서 안정적 혈관 분화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듈 두 가지가 탑재됐다.

박찬흠 교수는 바이오캐비넷이 향후 심혈관질환 치료를 위한 인공장기 제작 연구의 기초 자료 확보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단순한 실험 장비를 넘어, 우주의 압력·온도·방사선 등 영향을 받은 바이오 환경 데이터를 확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