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9일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를 통해 워싱턴DC 출국길에 올랐다. 사진=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9일 강서구 서울김포비즈니스항공센터(SGBAC)를 통해 워싱턴DC 출국길에 올랐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금융경제신문=정진아 기자 | 우리 정부와 미국 간 관세 협상이 막바지에 이른 가운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미국 출장길에 올랐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협상 지원을 위한 행보라는 관측이 제시됐다.

이재용 회장은 29일 오후 3시 50분쯤 서울 김포공항을 통해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 17일 대법원 무죄판결 이후 12일 만의 첫 외부 일정이다.

미국 상호관세 발효를 사흘 앞둔 가운데, 이재용 회장은 우리 측 협상 카드로 미국 내 반도체 투자 확대와 첨단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 기술협력을 제안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한편 업계에 따르면, 이재용 회장은 주요 파트너사와 글로벌 비즈니스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신사업 기회를 모색할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에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공장을 운영 중으로, 오는 2030년까지 미국 현지 반도체 생산 거점 마련을 위해 총 370억 달러(약 54조원)를 투자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도 파운드리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 따르면, 해당 공장에서는 지난 28일 테슬라와 체결한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통해 테슬라 차세대 AI 칩 ‘AI6’가 생산될 전망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한국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