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 6월까지 은행·보험·증권사 지점 4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변화라는 평가도 있지만 , 점포 축소 속도가 과도해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이 급격히 낮아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허영 의원실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사진)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지난 6월까지 은행·보험·증권사 지점 4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변화라는 평가도 있지만 , 점포 축소 속도가 과도해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이 급격히 낮아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진=허영 의원실

한국금융경제신문=김선재 기자 | 2020년부터 지난 6월까지 은행·보험·증권사 지점 4곳 중 1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거래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변화라는 평가도 있지만, 점포 축소 속도가 과도해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이 급격히 낮아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기간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937개의 지점을 폐쇄해 약 26%가 줄었다. 5대 생명보험사는 1959개 지점 중 484곳(20%), 9개 주요 증권사는 407개 중 233곳(36%)를 줄였다.

은행연합회가 2021년 3월 ‘점포폐쇄 공동절차’를 강화했음에도 폐점 추세는 지속됐다. 2023년 국회 국정감사 지적 이후 금융당국이 ‘점포폐쇄 내실화 방안’을 시행하면서 감소세를 보였으나, 올해 9월 기준 다시 103곳이 문을 닫으며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

폐점 추세는 은행별로도 큰 차이를 보였다. 2023 년 이후 하나은행은 1곳만 줄어든 반면, KB국민은행 98곳, 신한은행 86곳, 우리은행 71곳이 폐쇄됐다. 특히 수도권 지역의 폐점이 두드러졌는데, 최근 5년간 폐쇄된 전국 937개 지점 중 629곳(67%) 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집중됐다 .

그러나 수도권 내에서도 양극화가 뚜렷했다. 현재 4대 시중은행의 서울 지점은 1045곳으로, 이 중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 329곳이 몰려 전체의 31.5%를 차지했다. 서울의 은행 지점 3곳 중 1곳이 강남 3구에 있는 셈이다. 반면 중·저소득 지역에서는 폐점이 잇따르며 금융서비스의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

금융당국이 점포폐쇄 시 고령층 비율과 고객불편 정도를 평가하는 제도를 도입했지만, 금융취약계층이 많은 지역에서 실질적 개선 효과는 미미했던 셈이다.

허 의원은 “지난 5년간 91조원의 막대한 이익을 낸 은행권은 수익성뿐 아니라 금융서비스의 공공성에 대한 책임을 무겁게 인식해야 한다”며 “보험사와 증권사 등 모든 금융권이 지역과 계층을 아우르는 포용적 금융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은행연합회의 공동절차가 운영되고 있으나, 실효성에는 의문이 남는다”면서 “경영 효율화만을 이유로 금융소비자 접근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금융당국이 적극적인 관리·감독과 제도 개산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한국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