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래프톤이 2분기 실적 부진에도 상반기 역대 최고 매출을 경신했다. 사진=김성훈 기자
크래프톤이 누적 3분기만에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했다. 사진=김성훈 기자

한국금융경제신문=김성훈 기자 | 크래프톤이 3분기 누적 영업이익 1조519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크래프톤이 3분기 만에 누적 영업이익 1조원을 넘어선 건 창사 이래 최초다.

4일 크래프톤은 기업설명회(IR)를 열고 올해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한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 8706억원과 영업이익 3486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보다 각각 1513억원(21%), 242억원(7.5%) 증가한 수치다. 올해 3분기까지의 누적 실적은 매출 2조4069억원과 영업이익 1조519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창사 이래 최초로 3분기만에 누적 영업이익 1조원을 달성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PC 3539억원과 모바일 4885억원, 콘솔 102억원, 기타 180억원을 기록했다. PC 플랫폼은 ‘PUBG 배틀그라운드(배틀그라운드)’ IP를 중심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성장하며 최대 매출 기록을 세웠다.

글로벌 아티스트 ‘에스파’‧‘지드래곤’과 프랑스 최고급 자동차 브랜드 ‘부가티’ 등 연이어 선보인 컬래버레이션을 선보이며 트래픽 상승세를 이어간 덕분이다.

모바일 부문에서는 글로벌 프렌차이즈 ‘트랜스포머’ 테마 모드와 성장형 스킨 ‘X-Suit’ 등 콘텐츠 다각화가 호응을 이끌었다. 인도 한정 스킨과 서버 확장 등으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BGMI)의 현지화 전략도 매출 상승을 가져왔다.

기타 매출은 넵튠의 애드테크 부문 광고 실적이 반영되며 지난해 3분기 대비 131% 상승했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의 견조한 트래픽을 기반으로 PUBG IP 프랜차이즈 성장에 더욱 속도를 낼 방침이다. PC·콘솔에서는 지속적인 IP 컬래버를 통해 게임 이상의 문화적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또 중장기 성장을 위해 인도 국민 게임으로서 입지를 다지는 BGMI의 현지화 전략과 신작 발굴로 인도 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인도 현지 브랜드 협업과 지역 맞춤형 콘텐츠, 네트워크 환경 최적화, UGC 모드 업데이트 등을 통해 이용자 저변을 확대하고 이스포츠 대회 활용 팬덤 구축을 지속해 나갈 방침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한국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