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경제신문=김미소 기자 | 국내 주요 은행의 신용대출 잔액이 최근 1주일 만에 약 1조2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피 지수가 사상 처음 4200선을 돌파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빚내서 투자(빚투)’ 열기가 되살아나고,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로 인해 신용대출이 대안 자금 창구로 급부상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11일 은행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7일 기준 가계신용대출 잔액은 105조913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0월 말(104조7330억원) 대비 1조1807억원 증가한 수치로, 한 주 만에 10월 한 달 증가분(9251억원)을 넘어선 규모다.
대출 유형별로 보면, 마이너스통장 잔액이 1조659억원 급증했고, 일반 신용대출은 1148억원 증가했다. 이 같은 급등 폭은 지난 2021년 7월(1조8637억원) 이후 약 4년 4개월 만에 최대치다.
이러한 신용대출 급증은 개인 투자자들의 공격적인 주식 매수세와 맞물려 있다. 코스피가 이달 초 4200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 이어가다 인공지능(AI) 업종의 과열 논란으로 급락했음에도 개인투자자들은 순매수를 이어갔다.
한국거래소 집계에 따르면 지난주 외국인은 코스피에서 7조2638억원을 순매도했지만, 개인 투자자는 7조4433억원을 순매수하며 매물을 사실상 모두 받아냈다.
특히, 코스피가 장중 6% 넘게 밀려 3800대로 떨어졌던 지난 5일에는 마이너스통장 잔액이 하루 새 6238억원이나 불어났다.
주식 투자 자금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인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최근 사상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잔고는 26조2165억원으로, 최근 3일 연속 최대치를 기록했다.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투자자가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로부터 보유한 주식 등을 담보로 자금을 빌린 뒤 아직 갚지 않은 금액이다.
이보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원은 ‘최근 유가증권시장 신용융자 증가의 시사점’ 보고서에서 “올해 신용융자는 자본재와 반도체 업종에 집중돼있어 주가 하락 시 반대매매에 따른 해당 업종 가격 하락이 증폭될 우려가 있다”며 “두 업종이 코스피 시가 총액의 50%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지수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상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외국인 투자자 매수세가 개인투자자가 신용 투자한 업종의 주가 상승세를 견인했기 때문에 환율 변동, 대외 경제환경 변화로 인해 외국인 자금이 국내 시장에서 유출될 경우 해당 종목 급락 위험과 신용투자로 인한 파급효과 증폭 가능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