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부동산·가계대출 규제와 긴 추석 연휴에도 불구하고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5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부동산·가계대출 규제와 긴 추석 연휴에도 불구하고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5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금융경제신문=김미소 기자 | 지난달 부동산·가계대출 규제와 긴 추석 연휴에도 불구하고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5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지난 9월 대비 3조5000억원 증가한 117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 증가폭은 지난 6월 6조2000억원을 기록한 뒤 6·27 대책 영향으로 9월 1조9000억원까지 줄었으나, 10월 들어 다시 확대됐다.

대출 유형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이 2조1000억원 증가했으며,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도 1조4000억원 늘어났다. 다만, 주담대 중 전세자금대출은 3000억원 감소했다.

박민철 한국은행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담보대출은 전세자금 수요가 줄고 여름철 주택거래 둔화 영향이 이어지면서 증가폭이 축소됐다”고 말했다. 이어 “기타대출은 국내외 주식투자 확대, 10·15 대책을 앞둔 주택거래 선수요, 추석 연휴로 인한 일시적 자금 수요 등이 겹치면서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가계대출 동향’에서도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지난달 4조8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폭은 전월(1조1000억원)의 네 배 이상으로 확대됐다. 은행권이 3조5000억원 늘었고, 9월 8000억원 감소했던 제2금융권도 지난달 1조3000억원 증가로 전환됐다.

전 금융권 주택담보대출은 한 달 사이 3조2000억원 늘었으며,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9월 2조4000억원 감소에서 지난달 1조6000억원 증가로 반전했다.

기업 대출도 증가세가 이어졌다. 은행의 10월 기업대출은 5조9000억원 늘어 9월보다 증가폭이 확대됐다. 대기업은 2000억원 증가에 그쳤지만 중소기업 대출은 5조7000억원 늘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주요 은행의 대출 영업과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증가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수신(예금)에서는 예금은행에서 22조9000억원이 순유출됐다. 수시입출식예금은 분기 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예치된 법인자금이 빠져나가고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가 더해지며 39조3000억원 감소했다. 반대로 정기예금은 일부 가계자금 유출이 있었지만 은행들의 규제비율 관리 차원의 예금 유치가 늘며 13조6000억원 증가했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주식형펀드와 머니마켓펀드(MMF)를 중심으로 50조6000억원 늘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한국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