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경제신문=옥준석 기자 | KDB생명이 이사회에서 유상증자를 결의했다. KDB생명은 유상증자·경영개선계획 등을 통해 재무구조를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경영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 같은 유상증자는 경영정상화를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재원이 들어가는 사업을 위한 기반을 닦고 지급여력비율을 재고하기 위함이라는 진단이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살펴보면 KDB생명은 지난 12일 공시를 통해 올해 말 주주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결의했다.
유상증자 금액은 5150억원으로, 주금 납입일은 다음 달 30일이다. 한 주당 5000원에 신주 1억300만주를 발행할 전망이며 신주권 교부는 다음 해 1월 14일이다.
이번 유상증자는 지난달 15일 주주총회에서 의결한 무상감자에 더한 ‘경영정상화’를 통한 재무건전성 개선을 위한 작업으로 풀이된다. 기업은 주주에게 어떤 대가도 지급하지 않고 자본금을 줄이는 무상감자를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자본잠식을 해소할 수 있다.
주주총회에서는 9966만5129주 중 83.33%인 8305만4275주를 소각하는 무상감자를 의결했다. 자본금이 기존 4983억원에서 830억원으로 축소됐지만, 감자 후 생기는 차익을 통해 결손금을 정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유상증자가 필요한 이유는 지급여력비율(K-ICS 비율)을 보면 알 수 있다. 상반기 KDB생명의 K-ICS 비율은 경과조치 전 43.31%로 금융당국 권고치인 130%를 밑돈다. 다음 해에 규제를 도입할 ‘기본자본 K-ICS비율’도 올해 3월 기준 –27%를 기록하며 금융당국 권고치로 전망되는 50%를 밑돌 것이라는 진단이다.
K-ICS 비율은 보험사가 고객에게 금액을 지급할 수 있는 여력을 수치화한 것으로, 회사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다. 보험사가 보유한 자산에서 부채 등을 차감한 ‘가용자본’에서 위험액 등을 산출한 ‘요구자본’을 나눈 값에 100을 곱해서 계산한다. 기본자본 K-ICS 비율은 기본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눠 산출한다.
K-ICS 비율을 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는 후순위채 발행, 공동재보험 등이 있지만, 기본자본 비율과 일반 비율을 같이 올릴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으로는 유상증자가 꼽힌다. 후순위채는 기본자본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공동재보험은 금액대비 비율 개선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비율이 일정수준 떨어지면 제재와 감독 강화가 시작된다. 경영 개선 요구를 통한 자본 확충 명령 및 영업 정지 등 금융당국의 철퇴에 맞는 것에 더해 신규 보험 상품 인허가 등에도 제약을 받는다.
다만 KDB생명은 ‘턴어라운드’ 전략을 추진 중이다. 안정적 수익 구조 확보, 조직 운영 효율성 제고, IT 인프라 혁신을 3대 핵심축으로, 상품 포트폴리오 재편과 제3보험 시장 진출 강화에 주력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올해 7월 조직개편을 단행해 자원 활용과 부서 간 연계성을 최적화하고 변화 혁신실을 신설해 경영 현안 대응력과 실행 속도를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수익성 중심의 사업 구조 확립과 재무 안정성 강화를 위한 전략이다.
하지만 이 같은 노력이 실제로 수익을 개선 시킬 수 있는지는 불명확하다. 올해 3분기 KDB생명의 순익은 185억8373만6286원의 적자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보험 손익과 투자 손익도 적자를 기록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재무건전성 확보 차원에서 유상증자를 진행한 것이다. 영업 등 재원이 들어가는 사업들의 기반을 닦는 중”이라며 “유상증자를 통한 K-ICS비율 개선 기대효과나 수치 등은 아직까지 구체화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