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 (왼쪽부터) 이한호 인하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장윤성 석사과정 학생, 양슬비 석사과정 학생. 사진=인하대
이한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 (왼쪽부터) 이한호 인하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장윤성 석사과정 학생, 양슬비 석사과정 학생. 사진=인하대

한국금융경제신문=김성훈 기자 | 인하대학교가 이한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회로·시스템 분야 아시아·태평양 지역 권위를 자랑하는 학술대 ‘IEEE Asia Pacific Conference on Circuits and Systems(APCCAS)’에서 ‘최우수 라이브 데모 금상’을 수상했다고 26일 밝혔다.

이한호 교수 연구팀은 양자컴퓨터 공격에도 안전한 하드웨어 보안 영상통신 시스템을 개발했다. 해당 시스템은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표준화한 차세대 양자내성암호(ML-KEM)와 국제 표준 암호 알고리즘(AES-GCM)을 비메모리 반도체 칩(FPGA)에 구현했다.

이 기술은 기존 소프트웨어 방식보다 40배 이상 빠른 처리 속도를 달성하며 고성능 하드웨어 암호 기술의 우수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 양자내성암호는 향후 등장할 양자컴퓨터로도 해독이 불가능한 차세대 공개키 암호 기술로 연구팀이 활용한 ML-KEM은 양자컴퓨터 시대의 데이터 보안을 책임질 기술로 평가받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대학ICT연구센터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FPGA 기반의 고속 하드웨어 구현으로 실시간 영상 데이터 암호화와 다양한 고성능 보안 시스템에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의미가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한국금융경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